“역사는 구원의 대상이며, 이때 구성의 장소는 균질하고 공허한 시간이 아니라 지금시간으로 충만된 시간이다. (...) 유행은 과거 속으로 뛰어드는 호랑이의 도약이다.”
발터 벤야민, 『역사철학테제 14』(1940)

‘호랑이의 도약’은 창작자 및 이론가와 협업해 해외에서 생산되는 동시대 예술담론을 번역하는 플랫폼입니다. 번역물을 공유하고 담론을 순환시키면서 텍스트가 특정한 순간에 현재와 공명하기를, 지금 여기의 다성적 시차를 조율하기를 기대합니다. ‘호랑이의 도약’은 번역자를 기다리고 있습니다. 다양한 번역-주체들에게 번역료를 지급하고, 크레딧을 보증하면서 번역의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. 텍스트는 무료로 개방됩니다.

비판 이후
포스트-시네마토그래픽 시대의 시네필리아
아카이브의 충동
콘셉트로니카의 부상: 왜 최근 10년간의 많은 전자 음악은 클럽보다 박물관에 속하는 것처럼 느껴지는가
블레이드 러너 2049: 포스트휴먼 자본주의에 대한 어떤 관점
좀비 미디어: 미디어 고고학을 예술적 방법론으로 굴곡하는 회로
동시대미술에 대한 발췌된 답변들
미래를 위한 선언문들
신유물론이란 무엇인가?
키친
빵이 없으면 예술을 먹어라! 현대 예술과 파생파시즘
새로운 리얼리즘에 관하여
출구 없음: 비디오와 레디메이드
가속하라: 가속주의자 정치를 위한 선언
위험하지 않은 우주론
디지털 격차: 동시대미술과 뉴미디어
트루 블루 혹은 디지털 재생산 시대의 이미지들
표기 – 물질성 – 서명. 저항과 넘어섬 사이의 춤추기와 글쓰기
영화의 재배치
자본의 이미지: 재커리 폼왈트와의 인터뷰
적대와 관계미학
매체 특정성 이후를 프리드로 읽기: 화가로서의 제프 월, 사진가로서의 게르하르트 리히터
전지구적 이야기들을 하나씩 전하며: 아시아 미술 전시의 정치학과 시학
에이젠슈타인의 마르크스주의, 마르크스주의의 에이젠슈타인: 유토피아적 관람성과 미적 집단성
흰 코끼리 예술 vs. 흰 개미 예술
전시장 안의 영화, 폐허 속의 영화
모더니즘, 연극성과 물체성
포스트 인터넷 시대의 큐레이팅
오늘날의 미술
퍼포먼스 도큐멘테이션의 수행성
사회적 전환: 협업과 그 불만들
감상용 사본: 무빙 이미지의 유동성에 대하여
예술의 진실성